[보고서] 맞벌이부인의 스트레스결정요인 /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1:06
본문
Download : 맞벌이부인의스트레스결정요인.hwp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진주.사천지역에 거주하는 234명의 전문직 맞벌이 부인과 208명의 생산직 맞벌이 부인으로 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data(자료)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보고서] 맞벌이부인의 스트레스결정요인 /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순서
레포트 맞벌이부인의 스트레스결정요인 /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생산직 부인의 비교1) 이...
레포트 > 기타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생산직 부인의 비교1) 이...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 부인과 생산직 부인의 비교1) 이 명 신* ▶ 국문초록 ◀ 맞벌이 부인이 가정과 직장을 양립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결정 요인을 조사하고자,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네 종류의 사회적 지원 (남편의 가사분담, 가족의 지원, 직장상사의 지원, 맞벌이 가족지원 서비스), 스트레스의 주요한 Cause 이 되는 역할간 갈등 (가정-- 직장 역할간 갈등), 결혼만족도, 직무전념도, 그리고 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적 스트레스 간의 상호관계를 說明(설명) 할 수 있는 가설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두 집단의 공통적 요인과 discrimination적 요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 필요한 맞벌이가족 지원서비스 및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었다. 공변량 구조analysis(분석) 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說明(설명) 할 수 있는 최적의 theory 구조 모델이 선정되었다 (전문직 모델 df=214, GFI=0.887, CFI=0.943; 생산직 모델 df=218, GFI=0.893, CFI=0.941). data(자료)analysis(분석) 결과, 가족의 지원은 결혼 만족도와 직무전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스트레스 완화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가정-- 직장 역할 간 갈등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I. 서 론 산업구조의 서비스화, 소프트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여성...
Download : 맞벌이부인의스트레스결정요인.hwp( 34 )





설명
다. 스트레스 결정요인에 있어서의 계층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전문직 맞벌이 부인과 생산직 맞벌이 부인의 모델을 별도로 개발하여 비교하였다. 이와같은 전문직과 생산직 맞벌이 부인 모두에게 일반화될 수 있는 공통된 인과관계를 제외하고는 전문직과 생산직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 결정요인에 있어 상당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