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기독교와 포스트 모더니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3:37
본문
Download : 포스트 모더니즘.hwp
이제는 합리적인 것이 보편적인 진리로 여겨져서 모든 이들의 동의를 얻게 된다고 생각되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를 믿게 될 때 그 이야기가 타인을 지배하는 힘을 부여받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즉 이성중심주의의 보편 타당성에 대한 강한 부정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강영안. /주체는 죽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1996
Download : 포스트 모더니즘.hwp( 41 )
레포트 > 기타
김영한. /21세기와 개혁신학. Ⅱ:포스트모더니즘과 개혁신학/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8. .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기독교 사상/ 서울 1997. 11월호
2. 교회를 향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1.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상들
첫째로,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포스트모던적 상황을 다음과 같은 특징들에 의해서 특징 지워지는 상황이라고 본다. 상당히 많은 포스트 모던적 사상가들은 이성중심주의는 다른 담론 체계를 비정상적인 것, 열등한 것으로 억압하는 하나의 특수한 담론 체계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데카르트부터 처음 된 근대적 합리성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이는 이성 중심의 논의보다는 의사 전달에서 이야기가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강영안 교수가 지적하는 것처럼, `포스트 모던 사고에 따르면 이성은 절대적 근원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합리화하고 은폐하는 수단이다.
James Sire, /포스트모더니즘/ 송태연 옮김. IVF. 1998
Ⅰ. 들어가는 말
윤평중.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서울. 시광사. 1992
Ⅱ. 모더니즘
[중요] 기독교와 포스트 모더니즘
Ⅳ.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순서
Ⅲ. 포스트모던주의
배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소고Ⅱ/ /복음과 실천/ 제15집 서울 1992
기독교, 포스트 모더니즘, 모더니즘
Ⅴ. conclusion(결론)
기독교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소논문입니다
다. 왜냐 하면 이야기와 이야기 사이도 연계와 연속이 있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단절되어 상호 교통 불가능성이 지배하고 때때로만 소통이 있을 뿐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일것이다 리요타르에 의하면 세상은 기본적으로 파편적인 것이고, 존재는 본래의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기독교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소논문입니다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F. 1999. P14.
설명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어 나타나기 처음 한 포스트 모던적 운동을 고찰하면서, 대개의 모스트모던 주장자들은 포스트 모던 상황을 근대성의 전제들, 특히 과학과 인간의 합리성과인류의 점진적인 진보에 대한 신념들이 부식되고 해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