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북지역 답 사 자 료 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1:32
본문
Download : 충북·경북지역 답 사 자 료 집.hwp
조선 태조 1년(1392)에 고려시대의 지명인 예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목사를 두었으며, 세종 31년(1449) …(투비컨티뉴드 )
충청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중원 고구려비의 발견으로 고구려 영토로 ...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Download : 충북·경북지역 답 사 자 료 집.hwp( 70 )






충청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중원 고구려비의 발견으로 고구려 영토로 ... , 충북·경북지역 답 사 자 료 집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다. 충렬왕 3년(1277) 충주성을 개축할 때 초석에 아름다운 연꽃무늬를 조각한 연유로 예성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진흥왕 18년에는 당시의 국원성이 전략(戰略) 상의 요지이며 수운이 편리하다고 하여 소경으로 삼고, 이듬해에는 귀족들의 자제 및 6부의 세력 있고 넉넉한 백성들을 국원으로 이주시켰다.
고려 태조 23년 (940)에는 중원경을 지금의 명칭인 충주로 개칭하고, 고려 12목의 하나로 삼았다.
충북·경북지역 답 사 자 료 집
충청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중원 고구려비의 발견으로 고구려 영토로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진흥왕 때에 신라의 영역이 되었다(553). 이 때 명칭도 완장성에서 국원성(국원성)으로 개칭되었다. 경덕왕 1년(742)에는 중원경으로 개칭하여 통일 신라의 중앙임을 표방하였다. 고종때에는 몽고의 제 5차 침입을 물리친 공으로 국원경으로 승격되었다. 성종 14년(995)에 중원도를 설치하여 절도사를 두어 창화군(창화군)이라 하고, 문종 10년(1056)에 충주군을 분할하여 익안현(익안현)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