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展望(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4:00
본문
Download :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hwp
4. 서술절
()
강명윤(1999). “국어의 중목적격 구문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색.” 『한국어학』10.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展望(전망)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다. 1. 문제 제기
권재일(1998). “한국어 인용 구문 유형의 change(변화)와 인용 표지의 생성.” 『언어학』22.
국어 문장구성 인용절 / 강명윤(1996). “이중주격어 구문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어학』5.
Download :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hwp( 73 )
고광주(1999). “대등 접속문에 대한 검토.” 『한국어학』9.
3. 부사절과 인용절
순서
설명
교육인적자원부(2002). 『고등 학교 문법』.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 문장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홑문장 차원보다는 겹문장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게 보통이다.
국어 문장구성 인용절
권재일(1985).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집문당.
강범모(1983). “한국어 보문명사 구문의 의미 property(특성).” 『어학연구』19-1.
5. 맺음말
고영근(1993).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일지사.
고영근(1987, 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국어 문장구성 인용절 / 강명윤(1996). “이중주격어 구문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어학』5. 강명윤(1999). “국어의 중목적격 구문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색.” 『한국어학』10. 강범모(1983). “한국어 보문명사 구문의 의미 특성.” 『어학연구』19-1. 고광주(1999). “대등 접속문에 대한 검토.” 『한국어학』9. 고영근(1987, 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고영근(1993).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일지사. 교육인적자원부(2002). 『고등 학교 문법』.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권재일(1985).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집문당.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권재일(1998). “한국어 인용 구문 유형의 변화와 인용 표지의 생성.” 『언어학』22.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명사절과 관형사절
1.1. 국어 문장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크게 홑문장과 겹문장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따 전자에서는 서술어를 중심으로 한 보충어로서의 주요 constituent 들의 어순 문제나 보어의 관념 및 종류에 대한 문제, 내지는 한 문장에 주어나 목적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난다는 이중 주어·이중 목적어 문제 등이 논의 대상이 된다. 이 가운데 서술절 문제는 앞의 이중 주어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즉 서술절을 인정하면 이중 주어 구문은 겹문장으로 처리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홑문장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겹문장은 특히 홑문장이 후행하는 홑문장이나 다른 constituent 에 어떤 식으로 연결되느냐가 중요한데, 흔히 일컫는 명사절·관형사절·부사절·인용절·서술절에 대한 것이 구체적인 논의 대상이 된다. 후자, 즉 겹문장에 대한 논의에서는 홑문장과 홑문장, 또는 홑문장과 한 constituent 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하는 문제가 주요 논의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