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1:36
본문
Download :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pptx
위로는 해와 달과 별이 펼쳐져 있으니 하늘의 무늬…(생략(省略))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기타레포트 , 서거정 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
순서
_pptx_01.gif)
_pptx_02.gif)
_pptx_03.gif)
_pptx_04.gif)
_pptx_05.gif)
_pptx_06.gif)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다. 설치하기
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_SLIDE_2_
01 서론
1.1 서거정
1.2 동인시화
1.3 태평한화 골계전과 필원잡기
1.3 주제 선정 동기
02 본론
2.1 양반 관리
2.2 여성
2.3 불교
03 conclusion(결론)
목차
_SLIDE_3_
1-1
호는 사가정 시호는 문충
서거정
1457년 문시정시에 장원, 공조참의 등을 역임
1464년 조선시대 최초로 양관 대제학이 되었음
1470년 (성종 1) 좌찬성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좌리 공신이 되고 달성군에 책봉
45년간 여섯 왕을 섬겼으며 성리학을 비롯, 천문, 지리, 의약 등에 정통
3 / 12
선비 중에 입덕(立德)ㆍ입공(立功)ㆍ입언(立言), 즉 삼불후(三不朽)의 아름다움을 겸비한 자가 비록 드물긴 해도, 요컨대 모두 영원히 전해질 훌륭한 일이 되는데, 하물며 말은 학문의 모범이 되고 공(功)은 관직의 일정한 직무를 지킨 데에 있으며, 덕(德)은 인망에 부응하는 달성(達成) 서공(徐公, 서거정) 같은 분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 그러니 그 영원히 전할 것에다 무엇을 더할 것이 있겠는가
주요 저서 `동인시화`, `동문선`, `필원잡기` , `태평한화골계전`
_SLIDE_4_
1-2
동인시화
4 / 12
시화집
신라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인들의 시를 품평하고, 자신의 시론(詩論)을 기술함
대체로 자국의 문학적 전통에 대한 자각이나 문학적 유산의 보전이라는 측면
특히 시를 폄하하거나 소홀히 하여
결국 시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풍조에 대한
하나의 처방의 의미
도를 통한 인문의 강조
도의 concept(개념)은 그 자체로 논의된 것이 아니라 인문과의 관련 속에서 논의됨
天地가 개벽하자, 文이 생겨났다. 설치하기
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_SLIDE_2_
01 서론
1.1 서거정
1.2 동인시화
1.3 태평한화 골계전과 필원잡기
1.3 주제 선정 동기
02 본론
2.1 양반 관리
2.2 여성
2.3 불교
03 conclusion(결론)
목차
_SLIDE_3_
1-1
호는 사가정 시호는 문충
서거정
1457년 문시정시에 장원, 공조참의 등을 역임
1464년 조선시대 최초로 양관 대제학이 되었음
1470년 (성종 1) 좌찬성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좌리 공신이 되고 달성군에 책봉
45년간 여섯 왕을 섬겼으며 성리학을 비롯, 천문, 지리, 의약 등에 정통
3 / 12
선비 중에 입덕(立德)ㆍ입공(立功)ㆍ입언(立言), 즉 삼불후(三不朽)의 아름다움을 겸비한 자가 비록 드물긴 해도, 요컨대 모두 영원...
_SLIDE_1_
서 거 정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레포트/기타
Download :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pptx( 46 )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필원잡기를,중심,기타,레포트
서거정(태평한화골계전과 필원잡기를 중심으로)
설명
_SLIDE_1_
서 거 정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