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적 · 전략(strategy)적 R&D` 확대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7:38
본문
Download : 110321104128_.jpg
R&D 해결해야할문제도 대학과 연구소가 중심이 되는 원천형 사업과 기업중심의 개발형 사업으로 구분할 예정이다. 프로젝트에 대한 상시 구조조정 시스템도 마련할 예정이다.
`도전적 · 전략적 R&D` 확대된다
20일 政府와 업계에 따르면 지경부는 성공 시 큰 과실이 있지만 위험 부담이 커 민간이 뛰어들기 힘든 분야에 국가가 선제적 R&D를 확대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2단계 지식경제 R&D 혁신안’을 이달 말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
◇프로세스 대폭 改善(개선) =기존의 해결해야할문제 수주 시스템도 획기적으로 개편될 전망이다. 그동안 R&D가 투자 규모 확대 쪽에 집중했다면 2단계에서는 도전적 goal(목표) 를 설정하고 전략(戰略) 적 연구개발을 하겠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공모제 일색이던 R&D사업에도 전문가들이 필요한 기술을 직접 추천하고 제안 기술 평가를 거쳐 자금을 지원하는 추천제가 도입된다
다.
레포트 > 기타
`도전적 · 전략(strategy)적 R&D` 확대된다
지식경제부가 연구개발(R&D) 방향을 국가 산업 전반에 큰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도전적·전략(戰略) 적’ 해결해야할문제에 집중하는 쪽으로 개편한다.
◇키워드는 ‘도전과 전략(戰略) ’=2단계 R&D 혁신에서는 ‘도전’과 ‘전략(戰略) ’이 주요 키워드다.





政府 한 산하기관 본부장은 “政府 R&D 예산이 해마다 크게 늘고 있지만 이에 맞는 민간 분야의 R&D 확대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담당할 영역은 민간에 맡기고 政府는 기업들이 시도하기 힘든 모험적 연구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 R&D 프로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대신 관리제도는 강화하는 방향이다. 하지만, 실제로 대형 성과로 이어진 예는 드물다. 업계에서는 안일한 기획에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만 도전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Download : 110321104128_.jpg( 59 )
◇왜 바꾸나=국가 연구개발 해결해야할문제는 그동안 98%의 높은 성공률을 기록해왔다.
순서
해결해야할문제 기획단계에서는 해마다 일정 시점에 맞춰 추진되던 해결해야할문제 기획에서 탈피, 상시기획제가 도입된다 해결해야할문제 진행단계에서도 연구책임자가 판단해 사업을 자발적 중단할 수 있는 대책도 검토되고 있다.
설명
`도전적 · 전략(strategy)적 R&D` 확대된다
`도전적 · 전략적 R&D` 확대된다
또 R&D의 전문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해 연구비 관리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적정 사업비를 산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도 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전적 goal(목표) 를 위해 프로젝트별 PD제도를 전면 도입하고, 지식경제 R&D전략(戰略) 기획단을 중심으로 해결해야할문제 기획에도 전략(戰略) 성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수요자 중심 경쟁기획, goal(목표) 검증단 등이 가동될 것으로 알려졌다. 상용화 개발보다는 ‘연구를 위한 연구’가 많고 평가 방법이 허술하다는 지적도 있다. 도전적 R&D를 유도하기 위해 성실실패는 페널티를 없애주는 한편, 혁신적 성과에 관련되어는 획기적 인센티브를 주는 대책도 검토 중이다. 연구개발 프로세스도 대폭 바뀐다.